ID : 공백이나 '-'등은 사용하지 않은 고유 식별자 사용
Reference : request 정보를 setting. request 정보를 담아 줄 data 객체를 생성 후 지정
Target : response정보를 setting. request 정보를 담아 줄 data 객체를 생성 후 지정
URL Action : 실제 서버와 통신할 action url을 지정
Mode : 'asynchronous' 혹은 'synchronous' 등을 지정
*비동기 호출을 권장하므로 보통 'asynchronous'
Media Type : 통신 data의 종류 선택
Encoding : Request Header의 charset 속성에 설정
AbortTrigger : 잘 사용하지 않으나, 'true'로 설정할 경우 강제적으로 통신을 종료시킬 수 있는 기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.
Error Handler - 결과가 정상응답(200)이 왔을 경우 결과값으로 오류 여부를 지정, 별도의 공통함수를 통해 구현 가능
Custom Handler - request data 전송시 수행
Process Message : 해당 통신이 수행되는 동안 통신 중 메세지를 표현해주고 화면 자체는 다른 제어를 못하도록 disable 처리를 해준다.
Submit : 통신 실행 직전에 수행
Submit-done : 통신 정상 종료 후 callback 시점 수행
Submit-error : 응답 상태 코드가 200 미만, 300 이상일 경우 수행
submission의 id는 component 및 data 객체와는 다르게 해당 페이지 내에서 전역 번수로 인식되지 않는다.
'WebSqua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ebSquare - GridView 메서드 정리 (0) | 2021.07.06 |
---|---|
WebSquare5 Hybrid와 Cordova (0) | 2021.04.23 |
웹스퀘어5 데이터 바인딩 (0) | 2021.04.09 |
웹스퀘어5 페이지의 동작 순서와 컴포넌트 (0) | 2021.04.08 |
웹스퀘어 perspective 환경 세팅 저장 및 삭제 (0) | 2021.04.07 |